질환정보

의료원 블로그에서 더 자세히 소개된 건강 정보를 읽어보세요.

한여름 햇볕 깔보다 큰코다친다 - 신동훈 교수

작성자 : 피부과  

조회 : 3774 

작성일 : 2017-07-12 13:50:25 

file 733.png

신동훈 교수 사진

한여름 햇볕 깔보다 큰코다친다
8월 일광화상 주의보... 외출 땐 자외선 차단제 꼭 발라야

신동훈 교수

 

일광화상은 여름철 바닷가나 산에서 햇볕을 지나치게 받았을 경우일어나는 피부손상이다. 즉 햇볕의 자외선이 피부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주로 한낮에 햇볕이 강할 때 많이 발생한다. 일광화상을 ‘햇빛화상’, ‘햇볕화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8월 환자 10배 급증

더위와 피서가 절정에 이르는 8월이면 햇볕으로 인한 화상 환자가 10배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이 2005~2009년 일광화상에 대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8월 평균 진료인원은 7,558명으로 다른 달 평균 726명의 10배에 달했다. 6월(1,029명)과 7월(2,576명) 평균보다도 각각 7배, 3배나 높았다. 이는 무더위를 피해 노출이많은 복장을 하게 되고, 휴가철을 맞아 야외활동이 증가해 수영장 등 피부가 햇볕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곳을 많은 인파가 자주 찾기 때문이다. 연령별로는 2009년 기준, 20대가 29.4%, 30대가 23.8%로 노출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심한 청년층이 전체의 53.2%를 차지했다. 특히 20대 여성이 전체 여성 일광화상 환자 중 33.1%를 차지했으며, 남성과의 격차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10세 미만에서는 남아가 824명으로 여아 684명보다 다소 많았지만, 나머지 연령대는 남녀 수가 비슷하거나 여성이 더 많았다.

증 상

자외선이 강한 날에는 햇볕에 약 30분 정도만 노출돼도 일광화상을 입을 수 있다. 햇볕에 닿은 피부가 빨갛게 되고, 부종이 생기거나 막이 얇은 수포가 생긴다. 열이 나고 화끈거리며, 심하면 통증을 유발한다. 시간이 지나면 색소가 침착되고 화상 부위가 치유되지만, 심한 경우에는 두통·발열과 같은 전신 증상을 일으키고, 통증 때문에 잠을 이룰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급성과 만성으로 나눠

급성 손상은 화상 때문에 일어나는 피부 발적(붉게 부어오름) 및 통증이다. 대개 햇볕노출 2∼6시간 후 시작돼 12~24시간이 지나면 최고조에 이른다. 자외선B가 주로 일광화상을 일으킨다. 강한 자외선이 피부 표피와 진피층을 투과하면 표피 바로 밑에 있는 모세혈관이 팽창돼 피부가 벌겋게 달아올라 보인다. 발적 및 통증만 있는 경우는 1도 화상에 해당하며, 이경우 자가 치료가 가능하다.
만성 손상은 지속적으로 햇볕에 노출돼 피부 결체조직에 변화가 오고, 모세혈관이 팽창되거나 막히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일단 진행된 후에는 더 이상 자극을 주지 않더라도 정상 상태로 돌아오지 않는다. 피부노화 증상 중 가장 조기에 나타나며, 가장 흔한 게 주름살이다. 노출이 심한 부위에 피부혈관 확장, 엷은 반점, 주근깨 등이 나타나며, 피부가 거칠어지고 두꺼워진다. 드물게는 악성 종양으로 이행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 연구에 의하면 6회 이상일광화상을 경험했던 환자가 피부암인 흑색종에 걸릴 위험이 2.4배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

통증을 없애주는 일반적인 요법으로 발생 즉시 얼음찜질이나 샤워를 하여 피부를 차갑게 해주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통증으로 잠을 이룰 수 없을 경우에는 진통제를 먹는 게 좋다. 물집을 터트리면 상처를 통해 세균 감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물집은 절대로 터트리지 말아야 한다. 화상 부위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나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거나 때로는 부신피질호르몬제 연고를 바르기도 한다.

예방법

태양광선이 가장 강한 시기인 오전 11시~오후 3시 사이에는 가능한 한 외출을 피해야 한다. 높은 고도에서는 태양광선이 더 세며 화상을 입기 쉽다. 논이나 물, 모래에서도 햇볕이 반사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태양 아래에서는 모자를 쓰고, 긴소매로 된 마른 옷을 입도록 한다.
외부에 나가야 할 경우에는 일광차단 지수가 15 이상이고, A형과 B형 자외선(UVA, UVB)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일광차단제(선스크린)를 발라야 한다. 일광차단제는 햇볕에 노출되는 신체 부위 모두(귀·입술·코·목·손 포함)에 사용한다. 또한 일광차단제는 지속시간을 고려해 최소한 외출 30분 전에 발라야 하며, 2~3시간마다 덧발라주는 게 좋다. 무엇보다도 장시간 과도한 햇볕 노출을 피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