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은 목 앞쪽에 튀어나와 있는 갑상연골의 2~3cm 아래에 위치합니다. 나비 모양의 장기로 좌엽과 우엽, 그리고 양 엽을 연결하는 협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 엽의 길이는 4~5cm, 너비 1~2cm, 두께 2~3cm이며 전체 무게는 15~20g 입니다. 갑상선은 우리 몸 전신에 필요한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출처: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대한의학회
갑상선에 혹이 생긴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 하며 전체 갑상선 결절의 5-10%은 갑상선암으로 진단됩니다. 갑상선암은 양성 결절과 다르게 일반적으로 크기가 커지며 주변조직을 침범하거나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의 95% 이상은 유두암이며 이외에도 여포암, 저분화암, 미분화암, 수질암 등이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위험요인은 목 주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이며 방사선 누출 사고에 의해서도 갑상선암 발병위험도가 증가합니다. 또한 방사선에 노출된 나이가 어릴수록 노출 정도에 비례해 발병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일부 갑상선암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최근 보고에 따르면 비만 또한 갑상선암의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갑상선암은 뚜렷한 임상증상이 없으며, 통증 없이 만져지는 경부 종괴 (혹, 결절)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70% 이상이 1cm 이하의 크기로 전혀 만져지지 않고,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서 발견되고 있으므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경부 종괴와 더불어 쉰 목소리,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있으면 갑상선암의 가능성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갑상선암이 의심되면 문진 및 신체검사, 흉부가슴사진, 혈액검사(티로글로불린), 방사성 동위원소 옥소 전신촬영, 초음파 등을 실시합니다. 그 외 확진을 위해 세포검사를 통해 진단하게 됩니다. 갑상선 세포검사는 가느다란 주사기를 갑상선에 삽입하여 세포를 뽑아내는 방법과 조직검사용 굵은 바늘로 갑상선 세포를 떼어 내 병리 검사를 시행합니다.
갑상선암 치료의 일차 치료법입니다. 갑상선암의 종류와 크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갑상선 전체를 제거하거나 일부분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 합니다. 경부림프절이 전이가 된 경우나 의심되는 경우, 경부 림프절 청소술도 함께 시행하게 됩니다. 먼저 갑상선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최종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재수술을 시행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 후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고 현미경적으로만 남아 있을 수 있는 잔여 정상 갑상선조직 혹은 갑상선암을 제거하고, 수술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갑상선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시행합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6개월~1년의 간격을 두고 잔여 갑상선 조직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게 되는데, 추가 치료 시행 여부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전신 스캔 및 혈액검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효과적인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위하여 일정기간의 갑상선호르몬제의 중단과 요오드 제한식이가 필요합니다.
방사선 치료는 수술이나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은, 전이된 갑상선암의 일부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일부 항암제 치료를 시도하기도 하는데, 가능하다면 새로 개발된 항암치료제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것이 기존의 항암제 치료보다는 치료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갑상선암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특별한 예방법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전산화단층촬영과 같은 방사선에 목 부위가 과다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특히 소아기에 머리와 목 부위가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갑상선 수질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가계 구성원을 대상으로 RET 원종양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증상이 없는 성인이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일상적인 갑상선암 검진(임상 촉진, 초음파검사)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다만 갑상선암 가족력이 있거나 영아기 또는 소아기에 얼굴과 목 부위 방사선 조사를 받은 적이 있거나, 환자가 갑상선암 발병에 대해 불안해 할 경우엔 경우에는 전문의와 상담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