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정보

의료원 블로그에서 더 자세히 소개된 건강 정보를 읽어보세요.

프로야구 시즌, 특별히 조심해야할 안와골절 / 성형외과 김용하 교수

작성자 : 혁신커뮤니케이션팀  

조회 : 330 

작성일 : 2024-07-25 11:17:21 

​안와골절, '안와'가 부러진 상태 

안와골절은 단어 그대로 눈과 시각 관련 구조물을 담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안와가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구조적으로 안와는 전두골, 사골, 상악골, 접형골, 누골, 광대뼈 등 여러 뼈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그중 일부는 매우 얇아서 야구공이나 테니스공 등 물리적 충격이 직접 눈에 가해질 때 쉽게 손상된다. 충격이 발생하면 안와 내부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 압력이 전달되어 안와의 얇은 부분에 파열골절을 유발한다. 안와 바닥과 내측 벽은 얇고 지지력이 약해 골절이 자주 발생한다. 이처럼 쉽게 골절되기에 오히려 안구 자체의 손상은 방지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안와골절이 발생하면 통증, 부기, , 복시, 안구돌출, 안구함몰, 시력 감소, 눈의 움직임 제한, 뺨의 감각 이상, 코피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이 보이면 병원을 방문해 신속한 진료를 받는 것을 권장한다. 이중 복시는 일시적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있지만 안와 내 근육, 신경, 혈관 등이 손상입어서 발생할 수도 있다. 안와 관련 주요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끼이는 경우에는 눈 움직임 제한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다. 특히 청소년들은 뼈가 유연해서 골절이 작게 생기고 그 틈 사이로 구조물이 끼이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빨리 수술해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구돌출은 부종, 출혈, 기흉, 골절 등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다. 안구함몰은 대표적으로 중요하고도 심각한 증상이다. 안와 구조를 보면 깔때기 모양 혹은 아이스크림 콘 모양의 안와 앞에 안구가 탁구공 모양으로 위치한다. 충격으로 뒤쪽이 부서지면 안와 용적이 커진다. 원뿔형의 부피는 1/3hx(파이)xR²으로 직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안와골절은 직경이 커진 경우에 해당한다. 공간이 커져 안구가 함몰된다. 원뿔형이 구형으로 바뀌면서 뒤쪽 공간이 커지면서, 안구가 퀭하니 뒤로 들어가 보인다. 초기에는 부기 때문에 모르다가 부기가 빠지면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안구함몰이 관찰되면 심각한 골절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안와골절 환자 중 1/3 정도에서 뺨이나 코, 입술, 잇몸의 감각이 떨어지는 증상을 호소한다. 이는 안와 바로 아래에 있는 안와하신경이 골절 때 자주 손상을 입기 때문이다. 우리 몸의 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안와하신경은 감각신경이다. 수술 후 수주 지나 회복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일부는 지속적으로 남는 경우도 있다.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하는 안와골절 

안와골절로 의심된다면, 즉시 인근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 전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조치는 다음과 같다. 1. 부상 부위를 만지거나 압력을 가하지 않고 눈의 움직임을 최소하해야 한다. 2. 깨끗한 천에 얼음을 싸서 부드럽게 안와 부위를 냉찜질 한다. 3. 머리를 약간 높은 위치에 두어 부기를 줄인다. 4. 사용하던 안경과 콘텍트 렌즈도 중단한다.

 

안와벽은 눈을 비강, 상악동과 분리하는 벽이다. 이 부분이 손상되면 피가 코로 날 수 있다. 일부 환자는 코피가 나니 답답하고 불편해서 코를 푸는 버리곤 한다. 그러면 공기가 골절된 부위를 통해 안와 내부로 들어가서 눈이 퉁퉁 붓는 경우가 생긴다. 코를 강하게 풀 때,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공기나 핏덩이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안와 조직을 추가적으로 손상시키거나, 이미 골절된 뼈를 더 이동시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안와골절을 진단하는 데에는 1차적인 전문의의 진찰과 CT(컴퓨터 단층촬영) 검사가 필수적이다. 이는 환자의 눈을 검사하여 증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눈의 움직임과 시력 검사를 통해 신경 손상 여부도 평가할 수 있다. CT 검사는 안와골절 진단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신뢰할 수 있는 방법다. 이를 통해 작은 골절이나 복잡한 골절, 주변골 골절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검사 결과 골절이 경미하거나 환자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수술이 아닌 보존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로는 안정과 냉찜질, 약물 치료가 있다. 눈의 뼈도 그냥 두면 붙기도 한다. 하지만 비적상적 위치에서 굳어버려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한다. 수술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CT 소견상 골절된 뼈 조각이 심하게 이동했거나 눈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다. 안와 구조물이 상악동이나 사골동 등 주변으로 흘러내리거나 골조각 사이에 끼이거나 또는 압박 받으면 수술이 필요하다.

 

안와골절의 대표 수술법

​대표적인 수술법은 하안검성형술 절개법이나 눈 안의 결막절개법이다. 절개흉터는 눈에 띄지 않거나 간혹 발생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골막하 박리를 통해 골절 부위를 확인하고, 안와 구조물을 원래 자리로 이동시킨 후 뼈를 복원하고 고정한다. 안와벽은 아주 얇아서 압력으로 손상이 가해지면 부서져 복구하기가 어렵다. 이 때 적절한 인공물질을 사용해 안와벽을 재건하기도 한다. 골절의 위취는 눈 뒷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수술 시 표적 부위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수술용 네비게이션 같은 첨단장비나 특수 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안와는 안구, 시신경, 근육, 혈관, 지방 조직 등 다양한 구조물들이 밀집된 매우 좁은 공간이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매우 섬세하며, 수술 중 하나라도 손상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시신경 손상은 정말 심각한 합병증이고, 5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이 안전하지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또한, 안와골절은 단독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주로 코뼈, 광대뼈, 상악뼈 등 주변부 골절과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안명외상을 담당하고 얼굴 전체를 다루는 성형외과에서 많은 수술이 시행된다.

 

적절한 수술 시기는 외상으로 생긴 부종이 가라앉는 1주일 전후가 좋다. 하지만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발생 즉시 가능한 한 빨리 수술해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2주 내로 수술하는 것을 권장한다. 수술 없이 3~4주가 지나면 흉터 조직이 광범위하게 발생해 안와조직이 변형된 위치에서 굳어지고 주변 조직과 유착되어 수술적 교정이 아주 어렵기 때문이다.

 

안와골절 수술은 기능적인 문제와 미용적인 문제 두 가지를 모두 해결해야 한다. 기능이 우선이긴 하지만 골절 이전과 비교할 때 외적인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그리고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간혹 발생한다. 수술 후 CT 검사를 통해 재수술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재수술이 더 복잡하고 어렵기에 첫 수술 때 가능한 한 최선의 결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 후 회복을 위해서는 안정을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통증 관리와 감염 예방을 하면서 경과를 관찰하는데 보통 부기와 멍은 약 1~2주 내 가라앉는다. 회복 과정에서는 무리한 신체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고,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회복 양상을 점검해야 한다. 수술 후에는 코를 세게 풀지 말고 눈을 보호하면서 처방된 약을 지시대로 복용하고, 시력 변화가 없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안와골절은 일상 생활 중 갑자기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심각한 기능적 장애와 미용적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눈 주변에 큰 충격을 받은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고, 스포츠나 직업상 위험한 환경에 노출된다면 보호 장비를 꼭 착용해 예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