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환절기 뇌경색 주의보 조회 : 1479
신경외과 정영진 뇌혈관이 막혀 뇌세포로 혈액의 공급이 중단되는 순간부터 뇌세포는 죽기 시작하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와서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뇌경색으로 인한 후유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영어로 FAST, 우리나라 말로 빨리 빨리로 기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FAST의...
자라나는 흉터, 켈로이드 조회 : 2411
성형외과 정규진 살짝 긁히거나 부딪히는 작은 자극에도 상처가 생기기 쉽습니다, 대부분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심한 경우 흉터가 남게 되는데 이 흉터가 원래 상처보다 위로 솟아오르면서 커지고 차츰 갈색을 띄며 따갑고 가려운 증상이 있다면 켈로이드를 의심해야 합니다. 켈로이드는 상처나 수술...
폐렴예방접종 조회 : 1500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최은영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꾸준하게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질환 중의 하나가 폐렴입니다. 폐렴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폐 염증성 질환으로 감염성 질환 중 유일하게 10대 사망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초기증상은 감기와 유사합니다. 하지만 적극적인 치료에도 ...
고령환자 척추치료 조회 : 2518
신경외과 전익찬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하면서 만성퇴행성질환의 유병률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척추질환은 통증, 마비, 보행 장애를 유발하여 노년기 삶에 질적 저하를 초래합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나왔지만 고령 환자의 경우 심장, 고혈압, 뇌...
오늘 자녀와 대화를 해보셨나요? 조회 : 2579
정신건강의학과 천은진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대박자송이 유행하고 있습니다.이노래는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자살을 생각하게 하는 등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청소년 유해 매체물로 지정했지만 유튜브 조회수는 150만 명이 넘었고초등학생들도 대박자송의 후렴구를 따라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청소년 ...
감기 증상과 비슷한 환절기 뇌수막염 주의 조회 : 2338
소아청소년과 김세윤 뇌수막염은 뇌와 척수를 포함한 중추신경을 감싸고 있는 뇌척수막에 감염이 생기는 질환입니다.요즘 같은 환절기에 감기나 장염 같은 바이러스성 감염 중 하난데 발열 증상과 두통을 호소하게 됩니다. 구토를 하기도 하고 어린 소아들은 쳐지면서 보채기도 합니다.특히 구토 증상은 ...
고정밀 방사선 치료 조회 : 1984
방사선종양학과 박재원 방사선 치료는 수술, 항암치료와 함께 3대 암치료입니다.외과적 수술과 비슷한 국소 치료이지만 통증과 마취 없이 시행할 수 있는 암치료라는 특성을 갖습니다. 종양의 치료를 위해 방사선량은 계속 증가하고 그럴수록 주변 장기가 받는 방사선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최근 방사선 ...
막바지 더위 A형 간염 주의보 조회 : 2006
소화기내과 박정길 A형간염은 식중독과 같이 오염된 음식이나 물로 인해 전염되는 질병입니다.식중독의 발병률과 비슷한 A형간염은 5월에 환자수가 급증하고 8월이 되면 그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최근 기온차가 커지면서 식중독의 위험도 높아지고 A형간염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름철 눈관리 조회 : 2636
안과 손준혁 폭염이 지속되는 날씨에 에어컨, 선풍기 아래에 하루 종일 있게 되고 휴가철에는 휴양지나 워터파크로 물놀이를 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러한 생활환경의 변화가 감염성 안질환, 안구건조증, 자외선에 의한 눈 손상을 유발하므로 눈 건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사람이 많...
흔하지만 위험한 담낭 용종 조회 : 2366
소화기내과 김승범 최근 건강검진으로 복부 초음파 검사를 많이 하게 됨에 따라 담낭 용종이 발견되는 빈도가 높아졌습니다.담석을 제외하고 담낭 내강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병변을 말하는데 복부 초음파로 쉽게 관찰 할 수 있습니다. 정상인의 3~7%의 빈도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정확...
고령 임신 증가 ‘난소암’ 주의해야 조회 : 2592
산부인과 이대형 난소암은 여성암 발병률 10위지만, 5년 생존율이 40%가 되지 않을 정도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최근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빨라진 초경, 고령임신, 저출산 등이 난소암 증가의 원인으로 알려졌습니다. 난소암은 배란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나팔관과 난소에 문제가 생...
흡연, 금연캠프로 극복하자 조회 : 1969
가정의학과 이근미 최근 굵직한 뉴스들 사이에서 이슈가 궐련형 전자담배에 1급 발암물질이 5종 이상 검출되고, 타르가 일반담배보다 더 많이 검출되었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뉴스였습니다. 전세계에서 흡연으로 인해 사망하는 인구가 700만명 이상 이라는 WHO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우리나...
4명 중 1명은 고혈압 조회 : 2386
순환기내과 김웅 대한 고혈압 학회에서는 국내 고혈압 환자가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데 작년에 고혈압 진료를 받는 사람이 600만명에 그치고 있고 나머지는 고혈압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고혈압은 증상이 없습니다. 방치하게 되면 심근경색 뇌경색 등 합병증을 유...
다발골수종, 20년 새 10배 증가 조회 : 2631
혈액종양내과 김민경 고령화, 생활습관의 변화 등의 원인으로 과거에 흔하지 않았던 암이 급격히 발생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중 대표적인 것이 다발골수종으로 20년 전과 비교하여 10배이상 발생이 증가했습니다. 혈액을 구성하는 세포에 생기는 암인 혈액암 중 하나인 다발골수종은 국내에서...
미세먼지와 알레르기성 비염 조회 : 2744
이비인후과 나형균 미세먼지와 공해로 인한 환경악화, 고령화로 인한 면역력 약화, 주변환경 변화 등의 원인으로 자신도 모르는 알러지반응에 고생한 적이 있을 겁니다. 특히 코가 막혀 숨을 쉬기가 불편하거나, 재채기, 코막힘, 콧물, 가려움 등의 증상으로 잠을 못이루거나, 집중력도 떨어지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