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정보
의료원 블로그에서 더 자세히 소개된 건강 정보를 읽어보세요.
목록보기
- 전체글 : 4건
제목 | 진료과/센터 | 작성일 | |
---|---|---|---|
Q | [YUMC HEALTH] 숨 쉴 때마다 답답해요, 농흉-이석수 교수(흉부외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2021-07-07 |
A
▲ 농흉이란? 농흉이란 폐의 바깥쪽 막과 흉벽 안쪽 막의 사이 공간, 즉 흉강에 고름이 모이는 질환이다. 고름은 면역세포나 죽은 세포, 박테리아 등으로 가득 찬 액체다. 흉강에 차 있는 고름은 기침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는다.
▲ 발생 원인 농흉은 일반적으로 폐렴이나 폐농양과 같은 폐 조직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여러 종류의 균들이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나 그중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neumonia),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 로 밝혀져 있고 대장균이나 Klebsiella pneumonia 등과 같은 균들도 자주 원인이 된다. 다른 원인으로는 결핵에 의한 농양 이나 골수염 등과 같은 흉벽 질환이 있을 수 있고, 종격동염이나 식도파열, 목의 심부감염 등에 의해서도 농흉이 발생할 수 있다. 간농양과 같은 횡격막 아래에 발생한 질환이나 외상 또는 수술 후 감염 등이 농흉을 일으킬 때도 있다.
▲ 농흉의 진행 과정과 그에 따른 증상
▲ 치료 방법 치료의 목적은 흉강에서 고름을 없애고 감염을 치료하는 것이다. 원인이 되는 감염의 치료를 위해서 항생제를 우선적 으로 사용하면서 가능하면 고름을 배농하게 된다. 고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농흉의 단계나 양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초기이거나 흉수가 비교적 맑을 때는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굵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고름을 빼낼 수 있고, 주사기를 이용한 천자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든지 흉수의 양이 많거나 양상이 많이 뻑뻑할 경우에는 국소마취 하에 굵 은 튜브를 갈비뼈 사이로 삽관하여 배농을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도 불구하고 고름이 너무 뻑뻑하여 배농이 잘 되지 않거나 흉강 안에서 구획이 많이 나누어져 있는 경우, 또는 흉벽을 통한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다른 합병증이 동반된다면 응급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농흉의 수술은 늑 골을 부분적으로 절제한 후 배농 및 두꺼워진 흉막을 긁어서 벗겨내게 되는데 최근에는 흉강경을 이용하게 되면서 피 부 절개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늑골을 잘라내지 않고도 충분히 수술을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 수술을 하면서 원인이 되는 폐농양이 확인된다면 폐농양을 제거하거나 배액이 잘 되게 처치를 같이하게 된다. 드물게 농흉이 너무 오랜 기 간 동안 형성이 되어 배농을 하여도 두꺼워진 흉막 때문에 폐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갈비뼈를 2~3개 정 도 제거 후 피부를 말아 넣어 장기간 배농을 위한 흉벽 개방창을 만들어 주는 수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 예후 및 경과 관리 시 주의해야 할 사항 적절한 시기에 항생제 및 충분한 농흉의 배농이 이루어진다면 대부분의 환자는 별다른 문제 없이 회복을 하게 된다. 그러나 배농이 지연되면서 감염이나 패혈증 조절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망률이 3.4%에서 16%까지 상승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농흉 환자들이 병원에 방문하기 전 몸살 기운이나 감기 증상이 있었으나 별다른 검사 없이 해열진통 제만 복용하여 병이 진행한 경우도 자주 있어 몸이 이상할 경우 전문적인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나 당 조절이 안 될 경우,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들에서 가볍게 지나갈 수 있는 염증이 농흉으로 진 행할 확률이 높다. 그래서 평소 규칙적인 식습관 및 적절한 운동, 절주, 과로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폐 농양 (고름집)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농양이 터져 나오면서 농흉이 급격히 진행 및 악화가 될 수 있다. 농흉은 오래될수록 치료가 어려워지고 기관지 흉막루나 패혈증, 패혈성 쇼크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어 빠른 진단 및 치료가 필수적이다 |
|||
Q | [메디컬이슈] 흉부외과 민호기 교수, 90대 고령환자 무봉합 대동맥판막치환술 성공 | 심장혈관흉부외과 | 2021-07-06 |
A
흉부외과 민호기 교수, 흉부외과 민호기 교수팀이 최근 순환기내과 남종호 교수팀과의 긴밀하고 체계적인 다학제 통합진료를 통해 90대 고령 환자의 무봉합 대동맥판막 치환술에 성공했다.
|
|||
Q | [명의칼럼] 가슴에 고름이 고이는 병, 농흉 - 이장훈 교수(흉부외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2018-12-06 |
A
흉막강이란?
농흉의 발생 및 원인 3) 만성기
호흡곤란, 기침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농흉
농흉의 진단은 어떻게 하나?
폐의 재팽창을 위한 농흉의 치료 방법
영남대병원, 적극적인 수술로 치료 효과 높아
환자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로 합병증을 줄이다
|
|||
Q | 폐결절 - 이 장 훈 교수 | 심장혈관흉부외과 | 2017-07-27 |
A
폐 결절 (Pulmonary nodule)
이 장 훈 교수 정의 폐 결절은 폐에 생긴 비정상적으로 커진 덩어리를 뜻합니다. 폐 결절은 질병명이 아니고 다른 원인 질환에 의해 관찰되는 영상학적 소견입니다. 주로 폐의 내부에 관찰되는 3cm이하의 결절(종괴, 덩어리)을 의미하며 결절이 하나만 있는 것을 고립성 폐 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 SPN), 여러 개가 있는 것을 다발성 폐 결절이라고 합니다. 원인 폐결절이 관찰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감염증과 같은 양성 질환과 암과 같은 악성질환이 있습니다. 폐렴, 결핵, 곰팡이 감염, 과오종, 전이암 등 여러 질환이 폐 결절로 보일 수 있으며 이들의 구별이 쉽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 일반적으로 폐 결절은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진단 폐 결절의 진단은 흉부 엑스선 촬영(Chest X-ray),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합니다. 흉부 엑스선 검사의 경우는 반드시 과거의 검사결과와 비교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폐 결핵에 의한 결핵종이 흔하기 때문에 감별 진단 시 주의를 해야 합니다. 2년 이상 크기에 변화가 없거나 석회화가 있으면 양성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양성으로 확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조직 검사에는 가래 세포 검사, 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경피적 폐 침생검술 등이 있습니다. 경피적 폐 침생검술로도 진단이 되지 않는 경우에 개흉을 통하여 또는 비디오 흉강경 수술로 폐를 부분적으로 절제함으로써 검사를 시행학기도 합니다. 치료조직 검사 결과 결핵종으로 나오고 활동성이 의심되면 결핵약을 복용하고 비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되면 정기적으로 검사하며 관찰합니다. 과오종과 같은 양성 종양으로 결과가 나오면 수술을 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 경과를 관찰합니다. 악성으로 나온 경우에는 초기 폐암인 경우가 많으므로 수술을 시행합니다. 전이성 폐암인 경우 원발암에 맞추어 치료합니다. 조직 검사 후에도 악성, 양성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3개월에 한번씩 흉부 엑스선 혹은 CT를 촬영하여 변화를 관찰하나 35세 이상이고 흡연자의 경우는 수술로 제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폐 결절의 외과적 처치 폐 결절의 50% 정도가 악성 종양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이 필요합니다. 조직학적 진단을 하기 위해 경피 세침 흡인생검을 시행하고 있지만 진단율이 낮고, 바늘이 통과하였던 흉막에서 암이 재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폐 실질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의 보다 정확한 병리학적 진단을 위해 흉강경하 폐 쐐기절제술과 같은 외과적인 접근법이 가장 확실하고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흉강경 수술은 개흉수술에 비해 흉터가 적으며 통증의 강도가 약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며 무엇보다 일상생활로의 조기 복귀가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단일 절개창을 이용한 수술법(single port incision)으로 흉강경의 장점이 최대로 올라 환자들의 만족감이 커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결절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결절이 폐 실질 내에 깊이 존재하거나 전혀 촉지 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흉술로 전환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방지하고 보다 짧은 수술을 위해 다양한 폐결절의 위치 선정방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 방법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병원 및 집도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흉부전산화단층 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폐결절의 위치 선정을 시행한 후 폐 쐐기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CT-guided localization)이 가장 많이 시행되고 높은 성공률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염색물질 삽입(lipiodol)이나 내시경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방사선물질 삽입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 많이 시행되지는 않습니다. 흉강경을 이용해 폐 결절 조직을 생검하는 경우, 수술 중 폐결절의 신속하고 장확한 위치파악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절제 경계면(resection margin)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수술장 안에서 동결절편검사를 통해 병리과에서 악성이 의심된다는 결과를 보고 받으면 보다 확실한 절제 경계면을 확보하기 위해 수술의 범위가 폐 쐐기절제술보다 확대되어 폐 구역절제술(Segmentectomy)이나 폐엽절제술(Lobectomy)로 확대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종격 동 임파선 절제술이 시행되기도 합니다. 경과 폐 결절 자체로는 특별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없지만 결절의 크기가 커지면 기관지가 눌리게 되면서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올 수 있습니다. 폐 결절은 초기 폐암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결절인 경우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사이즈가 크다면 반드시 조직검사를 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조직검사 결과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고 림프절 전이가 없으면 폐암 1기이므로 수술 후 5년 생존율이 70% 정도로 매우 좋습니다. 그러나 정밀 검사 시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는 경우가 있으면 폐암 4기로 예후는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